Cisco Switch에서 STP, RSTP는 대부분 공부하시면서 많이 알고들 계시지만 Flexlink는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글을 남깁니다. 은근 STP Block 잡는 게 실망에서는 쉽지 않은데요. 이럴 때 STP보다 훨씬 빠르고 쉬운 내용이라 여러분들도 원문도 함께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Configuring Flex Links
Configuring Flex Links
www.cisco.com
이 기술이 엄청 오래전부터 있던 기술이예요. 근데 최근에 9300, 9200 series 가 나오면서 이 Flexlink 가 REP라는 기술로 바뀌었습니다. Flexlink 명령어가 스위치에 없는 경우 REP 명령어가 있는지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도 REP는 처음 사용해 보았는데요. 아래 원문을 한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Cisco Content Hub - Resilient Ethernet Protocol (REP)
Welcome to the custom book wizard. Using this tool you can create books containing a custom selection of content. To get started, enter a name for the book or select an existing book to add to. Select the topics and posts that you would like to add to your
content.cisco.com
Flexlink 와 REP의 가장 큰 차이점이 한 가지 있는데요. Flexlink는 Access 포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REP는 무조건 Trunk 포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저도 REP는 한번 해보았기 때문에 자세한 기술사항은 원문을 참고해 주시고 꼭 사용 하시기 전에 랩을 구성하셔서 테스트 후 적용시키시길 바랍니다.
Flexlink 사용법
제가 글을 올리기 위해 사용한 장비는 2960S 모델인데요. Lanlite OS에서는 해본적이 없어서 해당 명령어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위와 같이 인터페이스에 한 줄의 명령어만 넣으면 기본 명령어는 끝입니다.
show interface switchport backup 명령어로 상태 확인이 가능한데 보시는대로 먼저 꼽는 쪽이 UP 되고 다음 꽂히는 인터페이스가 Standby로 바뀝니다. 여기서 backup 쪽 인터페이스가 다운되면 Standby 쪽 link가 UP 상태로 바뀌게 되는데 여기서 확인 실제로 인터페이스 상태는 Active Backup 둘 다 UP으로 보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아래 사진을 한번 봐주세요.
실제 인터페이스 상태는 backup도 UP상태 라는 점입니다. 우리가 이중화 때 사용하는 Preempt는 기본적으로 꺼져있어서 Standby 인터페이스가 UP 상태에서 Active가 살아난다 해도 다시 Active는 Standby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 겁니다.
꼭 실사용 하시기전에 원문과 테스트를 거치 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팁 >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switch SSH port scan 확인 방법 (0) | 2022.04.18 |
---|---|
Cisco Switch Password recovery(패스워드 리커버리) & 초기화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