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잘 자고 일어났는데 주위가 돌고
메슥거리고 토한다면 어떠시겠어요?
몇 년 전 저희 엄마가 이러한
증세로 쓰러지신 적이 있으신데
외가 쪽 가족력이 혈관이 있어서
엄마도 똑같이 뇌 쪽과 관련된
질병이 아닌가 했었어요.
하지만 대학병원에서 검사받아보니
이석증 판정을 받으셨던 기억이 있네요.
이런 증상들이 생기게 되면
대부분 뇌 혈관 질환, 중풍을
의심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이렇게 어지러운
증상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이석증이며, 이러한
이석증은 정확하게 진단을 내리고
어느 부분에 이석이 있는지만
확인만 된다면 5분 안에 치료를
끝내고 집으로 귀가 하실수 있다고 합니다.
이석증이란?
한번 쯤은 들어보았던 귀안에 달팽이관
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 달팽이관 옆에
어지럼증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이 있다고 해요.
그 전정기관에 이석 기관과
세반 고리관이라는 것이 있다고 하네요.
어지럽다고 하면 달팽이관에 문제가 있다고 하지만
사실은 달팽이관은 청력을 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어지럼증이랑은 관계가 없고,
이석이라는 것이 이석 기관 안에 있는데
이 이석이 우리 몸의 수평을 담당하게 됩니다.
하지만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이석이 떨어지게 되는데 떨어진
이석은 반고리관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 이석은 반고리관 안에서 움직이게
되어 어지럽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네요.
이석증에 걸리게 되면 자고 일어날 때,
혹은 누울때 또는 누워서 고개를 좌측과
우측으로 돌릴 때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어지러움이 계속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아니고 1 - 2 분 짧게 지속 되며
반복적으로 발생한다고 하네요.
이석증 치료법
이석기관에 있어야 할 이석이
반고리관으로 들어가서 어느 부분에
붙어 있는지 어느 고리관에 들어가
있는지 등 을 파악해서 다시 원래 있던
이석 기관으로 들어가게 한다면
치료는 끝이난다고 합니다.
약물치료는 의미가 없다고 하네요.
그리고 간혹 치료가 안 되는
이석증이 있는데 그것은 반고리관을
떠도는 이석이 아닌 반고리관에
딱 붙어 있는 이석이라고 하네요.
하지만 이러한 경우도 빨리 병원에 와서
치료를 하게 된다면 99% 치료가 되는데
간혹 한 두분이 치료가 안돼서 고생을
하신다고 하네요.
그러니 증상이 발현되면
빠르게 병원에가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석증 원인
이석증의 원인은 아직까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다고 하는데요.
그래도 지금까지 알려진 원인들이
몇 가지가 있다고 하는데요.
머리에 외상을 입었을 때,
우리가 어쩔수 없이 오래
누워 있을때 라고 하네요.
이렇게 이석증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혹시 갑자기 나에게나 내 가족 또 는
주위 사람들에게 일어 날수 있기 때문에
이석증에 대해 어느정도 지식이 있다면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치료가 가능하니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면 좋은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정보 카카오 오픈채팅 봇 드리고 체험판 후기 (0) | 2022.10.04 |
---|---|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 나도 아스퍼거 증후군? (0) | 2022.09.28 |
길랑바레증후군 이란 무엇인가? / 백신 후유증 길랑바레 증후군 바로 알기 (0) | 2022.09.28 |
가스라이팅 예시 / 가스라이팅 자가진단 / 주위에 이런 말 자주 쓰는 사람 있나요? (0) | 2022.09.27 |
스쿼트 자세 올바르게 하는 방법 / 스쿼트(SQUAT) 무릎 통증 없이 하는 방법 (0) | 2022.09.27 |